top of page

양자통신의 한계는 어디일까…'불가능'에 도전한다

  • sykim9972
  • 2024년 2월 28일
  • 1분 분량

국가적·사회적 난제 해결을 목표로 양자기술, 기후·에너지 기술 등 도전적 문제에 나서는 '한계도전 R&D(연구·개발) 프로젝트'가 신규 과제 선정을 위한 중간 단계로 접어들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한국연구재단과 '한계도전 R&D 프로젝트'의 '기술제안토론회'를 28일 13시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계도전 R&D 프로젝트는 기존 R&D 관리체계를 벗어나 도전적 문제를 정의하고 연구자 주도로 혁신적 성과를 창출하려는 신규 연구개발 프로젝트다.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총 5년 간 490억 원을 투자해 실패 가능성이 높지만 성공 시 경제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변혁적 기술을 지원한다.



지난 14일까지 책임PM이 제시한 8개 연구주제에 대한 의견요청서를 접수했다. 의견요청서 접수 이후 도전성, 혁신성을 바탕으로 다시 5개 연구주제로 좁혔다. 이번 기술제안토론회에서는 이 5개 주제를 두고 기술의 한계와 도전 목표를 찾는다.



기술제안토론회에서 논의될 연구주제는 미래를 여는 물질, 지속 가능한 지구, 디지털 웰빙케어라는 3개 연구테마와 관련해 △양자통신용 광자 생성 기술 △생체친화적 윤활코팅 소재 기술 △최소 에너지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저감 기술 △기상변화 예측 AI 모델 △인간 기억의 저장 방식 탐구 등 5개 주제다.



주제별 기획 내용 구체화를 위해 책임PM과 주요 의견요청서 응답자, 관련분야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인다. 책임PM은 연구주제별 목표와 문제해결 기대치를 연구현장에 전달하고 응답자의 발표 및 현장 토론 등을 통해 세부 기획을 위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토론회 결과를 바탕으로 기획 내용을 구체화해 3월 중 신규과제 공고를 낸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한계도전 R&D 사업처럼 보다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미래연구를 더 많이 지원할 수 있도록 R&D 전반에 대한 제도와 환경을 바꿔가는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박건희 기자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챗GPT 이상 혁신 온다…양자컴퓨팅 산업 지원 강화해야"

국내 양자산업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는 '챗GPT' 등장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Comentarios


bottom of page